국내정책과 지원금,공모

청주 정북동 토성

국내관광지

* 청동기 말기의 방형토성, 정북동 토성 *

정북동 토성은 청주시 북쪽 미호천변 평야의 중심에 위치한 평지 토성인데 정확한 축조 연대를 알 수 없으나, 평지에 축조된 방형 토성이라는 사실과 최근 발굴조사 결과 출토된 유물로 보아 청동기 말기나 원삼국시대인 2∼3세기 경에 최초의 축성이 이루어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또한, 영조 20년(1744)에 상당산성의 승장으로 있던 영휴가 쓴「상당산성고금사적기」에 견훤이 궁예의 상당산성을 탈취하고 작강(鵲江) 즉 까치내 옆에 토성을 쌓고 창고를 지었다는 기록이 있다.토성은 남북이 약간 긴 방형이며 성안의 중심부에는 동서를 가로질러 농로가 있다. 이 농로의 북쪽은 20여 호의 민가가 있고, 남쪽은 경작지로 되어 있다. 성벽은 단면이 제형으로 동·서·남·북을 가리키고 있으며 4곳 모서리 부분은 약간 높고 바깥으로 돌출되어 치성 또는 각루의 시설이 있었던 듯하다.

4면 성벽의 중간쯤에는 문지로 보이는 절단부가 있으며, 이들 가운데 동·서·북의 것은 지금도 통로로 사용되고 있다. 특히, 남문지와 북문지는 좌우의 성벽이 엇갈리게 축조된 독특한 형태로서 옹성의 초기 형식으로 주목된다. 성내의 배수문제는 서쪽이 약간 높은 지세에 따라 현재의 동문 쪽에 수구가 있었을 것으로 보이는데 성 안에서 빠져나간 물은 성 밖을 둘러싼 해자로 유입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성벽의 높이는 3.5m∼5.5m, 성벽의 윗부분 폭은 2m, 성벽의 밑 부분은 11.9m 이상이다. 성벽의 길이는 동벽 185m, 서벽 165m, 남벽 155m, 북벽 170m로 전체 675m이다. 이 토성은 1990년 12월 14일 도지정기념물 제82호로 지정되어 관리되어 오다가 중요성이 인정되어 사적으로 승격 지정되었다.

* 정북동 토성의 발굴 과정 *

1996~1997년 서쪽 성벽 일부와 서문터에 대한 발굴조사가 실시되고, 1999년에는 성내 동반부와 남반부에 대한 발굴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성벽의 벽체부분은 안팎으로 나무기둥을 세워서 내부를 다지는 공법이 채택되고, 기단을 별도로 마련하지 않고 벽체의 안팎에 다시 기둥을 세워 축조한 방식을 취하고 있음이 밝혀졌다. 서문터는 굴립주에 의한 문이 있었다가 후대에 냇돌적심을 이용한 초석 기둥으로 대체되었다. 그 외에도 성안에서 주거유구, 기둥구덩유구, 길 유구, 냇돌무더기 유구 등이 확인되고, 성외 동남부 및 남문 바깥에서 해자가 확인되었다.

상세정보

  • 문의 및 안내043-201-0916
  • 홈페이지http://tour.cjcity.net
  • 주소충청북도 청주시 청원구 정북동
  • 이용시간
  • 휴일
  • 주차

'국내관광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계룡산국립공원  (0) 2020.11.07
보은 법주사[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0) 2020.11.07
수암골 벽화마을  (0) 2020.11.04
충주호 종댕이길  (0) 2020.11.04
충주 탄금대와 탄금대공원  (0) 2020.11.04

보은 삼년산성

국내관광지

* 평화를 지켜낸 삼국의 요새, 삼년산성 *

충북 보은군 보은읍 성주1길 104에는 신라시대 산성인 삼년산성이 있다. 둘레 1.7km, 넓이 8~10m, 높이 13~20m 규모의 삼년산성은 난공불락의 요새다. 성벽 아래에 서면 정육각형 벽돌로 깎아 쌓은 정교한 솜씨와 높고 튼튼한 기품에 압도된다. 삼년산성이라는 이름은 성을 쌓는 데 3년이 걸렸기 때문이라고도 하고, 삼국시대 보은의 지명이 삼년군이었기 때문이라고도 한다. 백제 성왕을 공격한 신라의 관산성 전투부대가 이곳에 주둔했었다. 태종무열왕이 당나라 사신을 접견한 곳도, 고려 왕건이 패퇴해 물러간 곳도 이곳이다. 삼국통일의 유리한 거점이었던 성곽에는 당시의 치열했던 전투는 간곳없고 돌에 낀 이끼에 평화가 느껴진다.주차장에서 10여 분을 오르면 산성 탐방이 시작되는 서문에 닿는다. 웅장한 성벽이 양쪽으로 서 있는데, 거대한 문은 어디 가고 문을 달았던 자리만이 덩그러니 남아 있다. 조선시대 학자 김생의 글씨가 새겨진 암벽과 물이 사라진 연못이 평화로이 하늘을 올려다보고 있다. 성벽을 따라 발길을 옮기면 고즈넉한 성벽 너머 먼산 능선들이 정답게 이어진다.

  • 문의 및 안내043-540-3406
  • 홈페이지http://www.tourboeun.go.kr
  • 주소충청북도 보은군 보은읍 어암리
  • 주차있음
  • 지정현황사적 제235호(1973.05.25 지정)
  • 입 장 료무료

의왕스카이레일-조금 더 높은 공간에서 소중한 사람과 하늘철길로의 여행

국내관광지

의왕스카이레일(Sky-rail)은 왕송호수가 가진 수려한 자연경관을 배경으로 길이 350m를 하강하는 3개 라인으로 구성되며, 시속 80km의 최고속도에서 느끼는 아찔한 스릴감을 제공한다.
왕송호수가 한 눈에 담기는 타워전망대에서는 왕송호수의 전경과 함께 자연학습공원의 빼어난 사계절의 풍경을 감상할 수 있으며, 로맨틱한 석양과 자연이 주는 편안함을 느낄 수 있다.

상세정보

  • 문의 및 안내의왕스카이레일 031-8086-7372
  • 홈페이지의왕도시공사 http://uiwangpark.uuc.or.kr/
  • 주소경기도 의왕시 왕송못동로
  • 이용시간* 하절기(3월~10월) 09:00~18:00 * 동절기(11월 ~ 2월) 10:00~17:00
  • 휴일매월 첫번째 월요일
  • 주차의왕자연학습공원 공영주차장(438대 주차가능)
  • 이용요금일반 : 15,000원

파주 삼릉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국내관광지

* 공릉(恭陵)

조선 제8대 예종(睿宗)의 원비(元妃) 장순왕후(章順王后·추 존) 한씨(韓氏)의 능이다. 장순왕후는 상당부원군(上黨府院君) 한명회(韓明澮)의 딸로 1460년(세조6) 16세로 세자빈에 책봉되어 인성대군(仁城大君)을 낳고 이듬해 17세의 나이로 승하하였으며 1472년(성종 3)에 왕후로 추존되었다. 공릉은 당초 왕후릉이 아닌 세자빈묘로 조성된 관계로 초석과 난간이 생략되고 봉분앞에 상석(床石)과 8각의 장명등을 세우고 좌우 양 쪽에 문인석 2기를 세웠다. 또, 봉분주위로 석마(石馬), 석양(石羊), 석호(石虎) 각각 2필씩을 두어 능주변을 호위하고 있다. 문인석은 손에 홀(笏)을 쥔 양식으로 옷주름 등이 조선전기 문인석양식을 따르고 있는데 조각 수법이 서툴러 전체적인 선이 유연하게 처리되지 못하고 있다.
<조선 제9대 성종(成宗)의 원비(元妃)인 공혜왕후(恭惠王后) 한씨(韓氏)의 능이다. 공혜왕후는 상당부원군 한명회의 딸로 공릉의 장순왕후와는 자매지간이다. 1467년(세조13) 11세에 가례를 올렸고 성종즉위와 더불어 왕비가 되었으나 성종 즉위 5년(1474년) 4월 자식없이 춘추 18세로 승하하였다. 순릉은 조선전기의 능 형태를 따르고 있는데 소담한 돌기둥 난간(난간석주·欄干石柱)을 둘렀으며 봉분앞에 상석과 8각의 장명등을 배 치하고 양쪽으로 문인석과
망주석 2기를 두었다. 또 석양(石羊) 석호(石虎) 각각 2필씩을 두어 능을 호위케 하고 있다.

* 영릉(永陵)

조선 제21대 영조(英祖)의 맏아들인 효장세자(孝章世子) 진종(眞宗·추존)과 그 비(妃) 효순왕후(孝純王后) 조씨(趙氏)의 능이다. 진종은 1719년(숙종 45)에 태어나 1724년 영조 즉위와 더불어 왕세자로 책봉되었으나 1728년 춘추 10세의 나이로 돌아가 시호를 효장이라 하였다. 1762년 영조는 둘째아들인 사도세자(思悼世子)를 폐위한 뒤 사도세자의 아들인 왕세손(훗날 正祖)을 효장의 아들로 입적시켰다. 효장은 정조 즉위후 영조의 유언에 따라 진종으로 추존되었고 능호도 올려 영릉(永陵)이라 하였다. 효순왕후 조씨는 풍릉부원군(豊陵府院君) 조문명(趙文命)의 딸로 1727년 13세에 세자빈에 책봉되었으나 다음해에 세자의 죽음으로 홀로 되었다가 1751년 춘추 37세로 돌아가 효장세자와 함께 왕후로 추존되었다. 영릉의 능형태는 왕릉과 왕비릉을 쌍릉으로 하여 2기의 상석을 앞에 놓았으며 그 중간에 사각옥형의 장명등을 배치하고 문인석 2기와 석양(石羊)·석호(石虎)를 각각 2필씩 배치해 능 주위를 호위케 하였다.

* 공릉 - 조선 전기 세조7년(1461)
* 순릉 - 조선 전기 성종5년(1474)

상세정보

  • 문의 및 안내031-940-5806
  • 홈페이지http://royaltombs.cha.go.kr/
  • 주소경기도 파주시 조리읍 삼릉로 89
  • 이용시간2~5월, 9~10월 09:00~18:00
    6~8월 09:00~18:30
    11~1월 09:00~17:30
    ※ 매표는 마감 1시간 전까지
  • 휴일매주 월요일
  • 주차있음(42대/소형 35대, 대형 7대)
  • 지정현황[파주 삼릉] 사적 제205호(1970.05.26 지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