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정책과 지원금,공모

2020년 목포 글로컬 관광도시 아이디어 공모전 안내

지차체 공고,공모

1. 공모기간 : 2020. 7. 20.(월) ~ 8. 24.(월)

2. 공 모 명 : 2020년 목포 글로컬 관광도시 아이디어 공모전

3. 참여대상 : 대한민국 국민 누구나

공모전 요강.hwp
0.02MB

2020년 전주시 야호마켓 운영단 참여자를 모집합니다.

경제|취업

전주시민을 위한 생활문화 플랫폼의 역할로서 대규모 개최가 계획되었던 야호시장을 코로나19로 인해 변화된 생활을 반영함으로써 체험과 나눔이 있는 시민참여형 시장으로 지친 시민들에게 힐링의 기회를 제공하고자  전주시 야호마켓 운영단』  참여자를 공개 모집하오니 많은 관심과 신청 바랍니다. 

 모집내용

 활동기간 : 2020. 8~ 11

 대 상: 관내 프리마켓 개설자중 참여희망자 모집

 접수기간: 2020. 7. 23 ~ 7. 31(10일간)

 접수방법: E-mail 접수 (붙임 1 신청서 제출)

- E-mail : bogg3357@korea.kr

- 접수기간 내에 참여신청서를 작성하여 접수 마감일 18:00까지

 참여대상 : 관내에서 정기적으로 마켓 개설·운영중인 개설자

 지원사항 : 비예산 및 예산(최대 1백만원 이내) 지원

- 물품 : 시 제작 매대, 파라솔·테이블 대여

- 홍보 : 언론홍보 및 현수막, 배너 등 홍보물 제작, 지원

- 공연 : 시립예술단, 공동체 등 유료 및 무료공연 지원

 

 선정방법

 대상결정 : 2020. 8. 3일한 (개별 유선통보)

- 개설 장소, 일정 및 개설 단체의 형평성 고려에 의한 서면심사

 

 문의처 및 제출서류

 전주시 마을공동체과(063-281-2827)

 참여신청서 (소정양식 첨부) 1.

1.hwp
0.07MB

운천사마애여래좌상

국내관광지

원효대사가 무등산 원효사에 머무르던 어느 날 서쪽 하늘에 서기(瑞氣)가 가득함을 보고 제자 보광화상을 현지에 보냈더니 뜻밖에 큰 바위에서 빛이 솟아나오므로 그 곳에 불상을 새긴 것이 이 마애불이라고 전하며, 이 곳에 절을 지어 정토사라 불렀다 하나 고증할 기록이나 유물은 없다. 이 불상은 큰 자연 암벽에 불상을 양각하고, 그 암벽에 붙여 집을 지어 불당으로 하였으니, 앉은 높이 가 2m 정도의 큰 불상으로 중국 운강석굴의 대불을 연상시킨다. 조각양식은 32상 80종호의 특징을 따르고 있으나 두부에 비해 몸체가 지나치게 과장되었고, 어깨, 팔, 손이 너무 커서 둔중하고 경직되어보이는데 이는 고려불상에서 흔히 나타나는 현상이기도 하다. 머리에는 육계가 있고 머리카락은 나발인데 마멸이 심하여 이마에 백호공이 얇게 보이며, 귀는 어깨까지 내리고 목에는 삼도가 뚜렷하다. 법의는 우견편단이나 의습은 발을 덮어 내리는 양식으며, 음각된 의문은 평행단상으로 형식화가 뚜렷하다. 수인은 복부에 양손을 마주하여 어떤 물체를 위로부터 덮고 있는 듯 한데 보주인지 악기인지 알 수가 없다. 뒤로는 한줄의 신광과 삼중선의 두광이 있고 가장 안쪽 두광에 연엽문이 새겨있을 뿐 다른 장식은 없다. 전체적으로 근엄, 둔중하고 괴체화 된 것으로 미루어 전기한 원효스님의 전설과는 달리 고려 시대에 조성된 것이 틀림없다.

* 규모 : 높이 2.1m / 재료 : 화강석

상세정보

  • 문의 및 안내운천사 062-375-0053
  • 홈페이지문화재청 http://www.cha.go.kr
  • 주소광주광역시 서구 금호운천길 85-15
  • 휴일연중무휴
  • 지정현황[운천사마애여래좌상] 광주광역시 유형문화재 제4호(1974.09.24 지정)

'국내관광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대포해수욕장  (0) 2020.07.07
유엔조각공원  (0) 2020.07.07
지공너덜 (무등산권 국가지질공원)  (0) 2020.07.07
광주 대인시장 (대인예술시장)  (0) 2020.07.07
무양서원  (0) 2020.07.07

무양서원

국내관광지

무양서원 (武陽書院)은 고려 인종(재위 1122∼1146) 때 어의(御醫)이면서 명신인 장경공 최사전을 중심으로 그의 후손 4명(손암 최윤덕, 금남 최부, 문절공 유희춘, 충열공 나덕헌)을 모시고 있는 서원이다. 최사전은 의술로써 벼슬에 나갔는데 왕의 총애를 받아 높은 벼슬에 오른 사람이다. 무양서원은 1927년에 탐진 최씨 문중이 전국 유림의 호응을 얻어서 세운 서원이다. 서원의 이름은 광주의 옛 지명에서 따 왔다고 하는데, 강당인 이택당을 중심으로 왼편과 오른편에 합의문과 합인문이 있다. 합의문을 지나면 오른편에 동재인 성지재가 있고 왼편에는 서재인 낙호재가 있다. 또한 높은 땅 위에 담장이 있는 무양사가 자리잡고 있는데, 이것은 사당 안에 함부로 들어가지 못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원래 서원은 제사 기능과 교육 기능을 가지고 있는데, 탐진 최씨 문중에서는 1945년 광산구 쌍암동에 무양중학교를 설립하여 지금까지 교육기관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상세정보

'국내관광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공너덜 (무등산권 국가지질공원)  (0) 2020.07.07
광주 대인시장 (대인예술시장)  (0) 2020.07.07
[무등산 옛길 2구간] 원효사~서석대  (0) 2020.07.06
무등산 주상절리대  (0) 2020.07.06
부용정  (0) 2020.07.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