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정책과 지원금,공모

증심사(광주)-광주의 대표적 사찰, 무등산 증심사

국내관광지

광주지역의 대표적인 불교도량으로 무등산 서쪽 기슭에 자리 잡고 있다. 통일신라 때 고승 철감선사(澈鑒禪師) 도윤(道允)이 9세기 중엽에 세운 절로 고려 선종 때(1094년) 혜소국사가 고쳐 짓고 조선 세종 때(1443년) 김방이 삼창하였는데 이때 오백나한의 불사가 이루어졌다고 한다. 이후 임진왜란 때 불타 없어진 것을 1609년(광해군 1)에 석경(釋經)·수장(修裝)·도광(道光)의 3대 선사가 4창(四創)했다고 한다. 그 후 신도들의 정성으로 몇 차례 보수가 이루어졌으나, 6 ·25전쟁 때 많은 부분이 소실되었다가 1970년에야 대웅전을 비롯한 건물들이 복구되었다.

* 증심사의 유물과 문화재 *
증심사의 유물로는 오백전(五百殿)과 비로전(사성전)에 봉안된 철조비로자나불 좌상(보물 제 131호), 신라 말기의 석탑인 증심사 삼층석탑(지방유형문화재 제1호), 범종각, 각층의 4면에 범자가 새겨진 범자칠층석탑 등 수많은 문화재가 있다. 특히 오백전은 무등산에 남아 있는 사찰 건물들 중 현재 가장 오래된 조선 초기(세종 25년)의 건물로 강진의 무위사 극락전과 계통을 같이 하는 정면 3간, 측면 3간의 단층 맞배지붕의 다심포 양식으로 그 희귀성이 돋보인다.이에 1986년 11월 1일 광주문화재자료 제 1호로 지정되어 있는 사찰 이다.

* 무등산 증심사 템플스테이 *
2008년도에 템플스테이 운영사찰로 지정되어 활발히 운영중이며,2017년 증심사 템플스테이 문화관(숙소 3동,지하강당1동등)을 개관하여 사찰 체험등과 더불어 쾌적한 환경에서 참가자가 숙식을 할수 있게 하였다.

상세정보

  • 문의 및 안내062-226-0107
  • 홈페이지☞ 템플스테이 보러가기
  • 주소광주광역시 동구 증심사길 177
  • 이용시간09:00 ~ 17:00
  • 휴일연중무휴
  • 주차주차 가능(소형 50여대 / 대형 3대)
  • 지정현황[증심사] 광주광역시 문화재자료 제 1호 (1984.02.17 지정)
    [광주 증심사 칠조비로자나불좌상] 보물 제 131호 (1963.01.21 지정)
    [증심사 석조보살입상] 광주광역시 유형문화재 제 14호 (1989.03.20 지정)
    [증심사 삼층석탑] 광주광역시 유형문화재 제 1호 (1972.01.29 지정)
    [증심사 오백전] 광주광역시 유형문화재 제 13호 (1989.03.20 지정)

사직공원(광주)

국내관광지

사직공원의 터는 원래 사직단이 있던 곳이다. 사직단이란 삼국시대부터 나라의 안녕과 풍년을 기원하여 땅의 신과 곡식의 신에게 제사를 올리는 곳이다. 이 장소는 조선 태조 3년에 토지의 신과 곡식의 신에게 제사를 지냈던 사직단을 설치한 것으로부터 유래되었다.1894년 제사가 폐지되고 1960년대 말에 사직동물원이 들어서면서 사직단은 헐리고 말았다. 그 뒤 사직단의 본래의 모습을 되찾아야 한다는 여론이 조성되자 1991년 동물원을 우치공원으로 옮기고 사직단을 복원하여 1994년 4월 100년 만에 사직제가 부활했다. 사직공원은 각종 수목 또는 화초들의 조경이 잘되어 있으며 특히 매년 4월 15일을 전후해서 벚꽃이 만발, 광주시는 이 무렵이면 밤에 전등을 가설하여 시민들이 밤에도 벚꽃을 즐길 수 있도록 했다. 지금은 시민들이 가장 즐겨 찾는 휴식처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 사직공원의 볼거리 *

공원 내에는 1993년 복원된 사직단과 광주방송총국(KBS), 경찰충혼탑, 양파정(양림동에 살던 정락교씨가 지어서 광주시에 기증한 것), 사장(射場)인 관덕정, 시가지를 조망할 수 있는 팔각정이 있다. 각종 수목과 화초를 이용한 조경이 잘 되어 있으며, 오색찬란한 광주를 한눈에 내려다 볼 수 있는 전망타워가 있다.

상세정보

  • 문의 및 안내062-652-3236
  • 홈페이지http://www.namgu.gwangju.kr/culture/
  • 주소광주광역시 남구 사직길 49
  • 이용시간[사직공원 전망타워] 3~11월 9:00~22:00
    12~2월 9:00~21:00
  • 휴일연중무휴
  • 주차없음

'국내관광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충탑(광주)  (0) 2020.06.30
빙월당  (0) 2020.06.30
입석대 (무등산권 국가지질공원)  (0) 2020.06.30
서석대 (무등산권 국가지질공원)  (0) 2020.06.29
광석대 (무등산권 국가지질공원)  (0) 2020.06.29

만귀정-장창우가 후학을 가르치던 곳, 만귀정

국내관광지

서구 세하동 동하마을에 있는 정자이다. 효우공(孝友公) 장창우(張昌羽)가 후학을 가르치며 만년을 보내기 위해 창건하였다고 한다. 그러나 원래의 건물은 세월이 지나면서 무너져 없어졌고, 후손들에 의한 1934년의 중건과 1945년의 중수를 거쳐 오늘에 이른다. 장창우는 이곳에 동족마을을 이루며 살아온 흥성 장씨(興城 張氏)의 낙남선조(落南先祖)인데, 그 창건 시기는 밝혀져 있지 않다. 건물은 사방 두 칸의 규모로 되어 있는데, 골기와를 얹은 팔작지붕에, 바닥에는 우물 마루를 깔았고, 동ㆍ서ㆍ남의 세 방향에 난간을 돌렸다. 만귀정은 큰 연못 가운데 세워진 수중(水中) 정자인데, 그 옆에는 습향각(襲香閣)과 묵암정사라는 이름의 또 다른 정자가 다리를 사이에 두고 나란히 늘어서 있다. 두 정자 모두 만귀정 중건 이후에 건립되었다.

* 만귀정 내 다양한 시문과 현판 *
만귀정에는 많은 시문이 현판으로 걸려 있는데, 그 중의 중건기는 1934년 고광선(高光善)이 썼으며, 중건상량문은 같은 해에 이병수(李炳壽)가 썼고, 중수기는 1945년에 후손인 묵암장안섭이 썼다. 또한 경내에는 1939년에송광세(宋光世)가 쓴 ‘만귀정시사창립기념비(晩歸亭詩社創立記念碑)’가 세워져 있어, 이곳을 무대로 결성된 ‘만귀정시사’의 한시(漢詩) 활동이 한때 전개되었음을 알 수 있다.

[문화재 정보]
지정종목 : 문화재자료
지정번호 : 광주문화재자료 제5호
지정연도 : 1984년 2월 29일
시대 : 일제강점기
종류 : 누각

상세정보

  • 문의 및 안내광주 서구청 문화관광 062-360-7251
  • 홈페이지문화재청 http://www.cha.go.kr
  • 주소광주광역시 서구 동하길 10
  • 휴일연중무휴
  • 지정현황[만귀정] 광주광역시 문화재자료 제5호(1984.02.29 지정)

'국내관광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석대 (무등산권 국가지질공원)  (0) 2020.06.29
광석대 (무등산권 국가지질공원)  (0) 2020.06.29
광주 역사민속박물관  (0) 2020.06.29
국립광주박물관  (0) 2020.06.29
대청댐 물문화관  (0) 2020.06.28

우암사적공원

국내관광지

우암사적공원은 조선 후기 대유학자인 우암 송시열(1607~1689) 선생이 학문을 닦던 곳으로 1991년부터 1997년까지 1만 6천여 평에 장판각, 유물관, 서원 등의 건물을 재현해 1998년 4월 17일 사적공원으로 새롭게 탄생했다. 이곳은 선생이 말년에 제자를 가르치고 학문에 정진하던 남간정사, 건축미가 뛰어난 기국정, 송시열 문집인 송자대전판 등 역사적으로 중요한 문화재가 보전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공원 곳곳이 잘 단장되어 있어 도심 속 시민들의 쉼터로도 제격이다. 사적공원 안으로 들어서면 맨 먼저 왼쪽으로 대전시 유형문화재 제4호로 지정되어 있는 남간정사와 기국정 건물이 자리하고 있다. 남간정사를 살펴보고 나와 좀 더 위쪽으로 올라가면 우암선생의 유물과 일생을 살펴볼 수 있는 유물관이 있고, 유물관 앞 홍살문 사이로 멀리 명정문(明正門)이 보인다. 조선시대 서원의 형태를 재현해 놓은 곳이다.

서원 안으로 들어서면 우측에는 모든 괴로움을 참아야 한다는 뜻의 인함각(忍含閣), 좌측에는 모든 일을 명확하게 하고 마음을 맑게 하라는 뜻을 담은 명숙각(明淑閣), 정면에는 마음을 곧게 쓰라는 뜻의 강당인 이직당(以直堂)이 자리를 하고 있다. 그 뒤로 매사 심사숙고하여 결정하라는 뜻의 심결재(審決齋)와 선현의 가르침을 굳게 지키라는 견뢰재(堅牢齋)가 있으며, 가장 높은 곳에 새로 옮겨 지은 남간사가 자리잡고 있다. 다시 명정문을 나와 우측으로 돌아가면 연못과 덕포루(德布樓)가 한 폭의 그림같이 펼쳐진다. 덕포루와 더불어 고즈넉한 연못이 운치를 한층 더한다. 감탄사가 절로 나오는 근사한 풍광에 다시 한번 마음의 경계가 풀린다. 한편 사적공원 내에는 봄, 가을 우암 선생의 제향 봉행이 이루어지고 있다. 조선 후기 이 땅에 유교사상을 꽃피운 우암 송시열 선생의 뜻을 기리고 보존하기 위해 조성된 우암사적공원. 대학자 우암의 숨결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상세정보

  • 문의 및 안내042-673-9286
  • 홈페이지http://tour.donggu.go.kr
  • 주소대전광역시 동구 충정로 53
  • 이용시간하절기(3~10월) 05:00~21:00
    동절기(11~2월) 06:00~20:00
  • 휴일연중무휴
  • 주차있음
  • 입 장 료무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