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어진 항으로 들어오는 거센 파도를 막아주는 바위섬으로 ''갯바람과 파도가 바위에 부딪칠 때 거문고 소리가 난다''하여 슬도(瑟島)라 불린다. 슬도는 ''바다에서 보면 모양이 시루를 엎어 놓은 것 같다'' 하여 시루섬 또는 섬 전체가 왕곰보 돌로 덮여 있어 곰보섬이라고도 한다. 슬도에 울려 퍼지는 파도소리를 일컫는 슬도명파(瑟島鳴波)는 방어진 12경중의 하나다. 1950년대 말에 세워진 무인등대가 홀로 슬도를 지키고 있으며 이곳에는 다양한 어종이 서식하고 있어 낚시객의 발길이 끊이지 않고 있다.
오륙도 크루즈는 해양도시 부산항의 관문인 오륙도를 일주 운항하는 코스로서, 1979년 취항 이후 해운대 해수욕장을 기점으로 유일한 전통을 유지하고 있는 부산의 대표 유람선이라 할 수 있다.국내 최고의 휴양지이자 천혜의 해양요건을 갖추고 있는 해운대 해수욕장과 APEC 정상회담장이 들어서는 동백섬, 수영만, 광안대교와 광안리 앞바다를 거쳐, 용호동 이기대, 오륙도를 왕복 운항하는 코스로서 일출과 일몰광경은 가히 최고라 할 수 있다. 남해와 동해를 연결하는 이 곳의 푸른 바다와 계절에 따라 나타나는 부산갈매기떼의 광경은 보는 이로 하여금 깊은 추억과 감동을 느끼게 한다.광안대교 야경크루즈는 2003년부터 운항되어 연인, 가족 단위의 최고 관광 상품으로 자리잡아가고 있다. 선상에서 바라보는 해운대 해수욕장과 광안리의 야경은 일품이다. 특히 광안대교의 야경은 더욱 그 품위와 웅장함을 자랑하며 광안대교에서 품어 나오는 오색찬란한 불빛은 저절로 감탄을 자아내게 한다. 이로 인하여 야경관광 유람선은 부산의 새로운 해상 관광 상품으로 거듭나고 있다.
* 해운대동백섬 유람선의 또다른 즐길거리 *
해운대 관광유람선 선착장이 있는데 해운대 앞바다를 지나 동백섬을 돌아보고, 남구의 절경인 이기대를 거쳐서 신선이 노닐었다는 신선대 비경과 부산의 상징인 오륙도를 일주하는 코스로 1시간 정도가 소요된다. 유람선이 바다를 누빌 때면 언제 어디서 왔는지갈매기 떼들이 배 뒤를 따르며 원무를 그린다.그리고 유람선을 탈 수 있는 미포주변의 횟집들은 거의 대부분 자연산 고기를 취급하는데 우럭이나 광어보다 어부들이 앞바다에서 통발로 잡은 것이라 입맛을 돋운다.
해동 용궁사는 1376년 공민왕(恭民王)의 왕사(王師)였던 나옹대사(懶翁大師)의 창건으로 한국삼대관음성지(三大觀音聖地)의 한 곳이며 바다와 용과 관음대불이 조화를 이루어 그 어느 곳보다 신앙의 깊은 뜻을 담고 있으며, 진심으로 기도를 하면 누구나 꼭 현몽을 받고 한가지 소원을 이루는 염험한 곳으로 유명하다. 임진왜란의 병화로 소실되었다가 1930년대 초 통도사의 운강(雲崗)이 중창하였다. 1974년 정암(晸菴)스님이 이 절의 주지가 되어 관음도량으로 복원할 것을 발원하고 백일기도를 하였는데, 꿈에서 흰옷을 입은 관세음보살이 용을 타고 승천하는 것을 보았다 하여 절 이름을 해동용궁사로 바꾸었다.
현존하는 건물은 대웅전을 비롯하여 굴법당·용왕당(용궁단)·범종각·요사채 등이 있다. 대웅전은 주지 정암이 1970년대에 중창하였다. 대웅전 옆에 있는 굴법당은 미륵전이라고 하여 창건 때부터 미륵좌상 석불을 모시고 있는데 자손이 없는 사람이 기도하면 자손을 얻게 된다 하여 득남불이라고 부른다. 대웅전 앞에는 사사자 3층 석탑이 있다. 원래 이 자리에는 3m 높이의 바위(미륵바위)가 있었는데 임진왜란 때 절이 폐허가 되고 6·25전쟁 때 해안경비망 구축으로 파괴됨에 따라, 1990년에 정암이 파석을 모으고 손상된 암벽을 보축하여 이 석탑을 세우고 스리랑카에서 가져온 불사리 7과를 봉안하였다. 이밖에 단일 석재로는 한국 최대의 석상인 약 10m 높이의 해수관음대불, 동해 갓바위 부처라고도 하는 약사여래불이 있다. 절 입구에는 교통안전기원탑과 108계단이 있고, 계단 초입에 달마상이 있는데 코와 배를 만지면 득남한다는 전설이 전한다.
* 해동용궁사 인근의 볼거리 * 주차장에서 내려 2분만 걸어가면 동양철학의 육십갑자 십이지상이 봉안되어 있고 우리 모두의 안정운행을 기원하는 교통 안정 기원 탑이 조심운전을 당부한다. 풍광을 찬탄한 춘원 이광수의 시비와 "청산은 나를 보고 말 없이 살라하고 창공은 나를 보고 티없이 살라하네" 라고 노래한 저 유명한 나웅화상의 시귀는 잠시나마 나 자신을 다시 한번 돌아보게 한다. 용문석굴을 지나 108돌계단을 한 계단 한계단 내려가면 정렬된 석등군, 검푸른 넓은 바다는 실제 용궁으로 들어가는 기분으로 감탄과 환희 그 자체이다. 왼쪽으로 백호바위에 약사여래석불이 모셔져 있고 조금만 더 가면 해가 제일 먼저 뜨는 일출암이 자리하고 있다.